Skip to main
이방인 독후감
- 오늘, 이방인을 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 잘 모르겠다.
- 이정도 소설은 써야 노벨 문학상을 받는것인가!
- 짧으면서도 참 많은 생각을 하게 해준 책
- 페스트를 읽고 18개의 메모를 남겼으나, 이방인을 읽고선 36개의 메모를 남겼다
- 그렇지만 반대로 이야기 하자면, 그만큼 어려운 부분도 많았다.
- 페스트의 경우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은 한 두 부분 있었으나, 이방인의 “뫼르소의 마음 속"은 처음부터 끝까지 공감하면서 동시에 이해하기 어려웠다.
- 책 마지막에 뫼르소가
이 삶을 기억할 수 있는 그런 것이오!라고 외치는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은 이해할 수 없다는게 너무나 안타까웠다.
- 실존이란 무엇일까
- 대학생때 니체를 좋아했는데 그 반동인지, 지금은 실존주의에 더 끌리고있다.
- 니체는 인간을 초월한 초인이 되라고 울부짖었으나, 실존주의는 있는 그대로 살라는 의미라고 생각한다.
- 말이 쉽지. 과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뫼르소의 삶은 정말 행복했던 것일까?
- 그는 왜
내가 뒤로 돌아서기만 하면 모두 끝나는 일에서 돌아서지 못했던 것일까. 아니 돌아서지 않은 것일까?
내가 뒤로 돌아서기만 하면 모두 끝나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햇볕으로 이글거리는 해변 전체가 뒤에서 나를 압박했다. 이방인p.85 실존
- 그는 정말로 “태양"때문에 사람을 죽인것에 대해 후회하지 않았을까?
내가 듣기에도 얼마나 터무니없는지 알면서도, 나는 불쑥 내뱉었다. 그것은 태양 때문이었다고. 이방인p.141
- 그는 어떻게 해서
그 진실이 나를 꼭 움켜쥔 만큼 그것을 꼭 움켜쥐는게 가능했을까?
그는 죽은 사람처럼 살고 있기 때문에 살아 있다고조차 확신할 수 없는 것이었다. 반면에 나는 마치 빈손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나는 나에 대해, 모든 것에 대해, 그가 확신하는 것 이상으로, 나의 삶을, 다가올 이 죽음을 확신하고 있었다. 그렇다. 내겐 그것밖에 없다. 그러나 적어도 나는 그 진실이 나를 꼭 움켜쥔 만큼 그것을 꼭 움켜쥐고 있었다. 나는 옳았고, 여전히 옳았으며, 항상 옳았다. 이방인p.163 실존
- 대학생때 읽었다면 참 좋았을 것을. 그러나 그때 읽었다면, 지금만큼 뫼르소의 “조바심"이나 “피로감"을 이해할 수 있었을까?
- 여담
- 카뮈는 정말 잘생겼다.
- 사르트르가 질투했다는 썰도 있는것 같던데, 이해가 되는 얼굴이다.
- 담배 하나 입에 물고있는 책 표지가 인상적이여서, 책 읽는 내내 카뮈의 얼굴을 한 뫼르소가 생각났다.
블로그,
독후감,
이방인,
Published